* 일시 : 5/15(목) 16:30 –
* 연사 : 강성훈 교수(숭실대학교 화학과)
* 장소 : 벤처관 711호
* 제목 : Tumor extracellular matrix remodeling enzyme targeting strategy for immunostimulator delivery
*초록
지난 10여년 동안 면역치료 (Immunotherapy)는 암 치료의 주요 용법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. 특히나 Programmed death protein 1 (PD-1) 혹은 programmed death-ligand 1 (PD-L1) 등 면역 활성에 주요 신호전달체계를 막도록 설계된 면역관문 억제제 (Immune checkpoint inhibitors)의 개발과 연구의 확대는 암 면역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그 적용 범위를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. 하지만, 지난 임상들의 결과에서 면역치료제의 단일 요법 (Monotherapy)이 난치성 암(예: 흑색종, 전이성 간암 등)에서 낮은 치료 효과를 보이고, 암 특이적인 면역반응 (tumor-specific immune response)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, 전신에서 비특이적 염증반응 (non-specific inflammation)을 유발하여 면역 관련된 독성 (immune-related adverse effects, irAEs)을 유발하는 문제가 확인되었습니다. 그렇기에 면역치료제의 낮은 반응률과 부작용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, 면역치료제를 종양 부위로 좀 더 선택적으로 전달하여, 전신 면역반응 (Systemic immune response)이 아닌 국소적인 면역반응 (Local immune response)을 유발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.
본 연구에서는 종양 미세환경 (Tumor microenvironment)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콜라겐 초구조체 (superstructure of collagen) 형성에 관여하는 리실 산화효소 (Lysyl oxidase, LOX)를 표적으로 하여, 종양 미세환경에 보다 선택적이며 효과적으로 면역치료제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 시스템을 연구하였습니다. LOX는 콜라겐 초구조체를 형성하는 조직 재형성 효소 (Tissue remodeling enzyme)로 종양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입니다. 그렇기에, 이번 연구에서 LOX의 효소활성 부위에 효소-기질 복합체를 형성하여 종양 미세환경에 결합할 수 있는 Interleukin-7 (IL-7) 과 Interleukin-12 (IL-12)를 합성하였습니다. 이 공학적으로 설계된 면역항암제는 종양 미세환경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, 종양 부위에서만 항암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, 종양 주변에서 높은 활성을 갖는 LOX의 활성을 이용하여 전달되기에, 정맥주사 (Intravenous injection) 뿐만 아니라 피하주사 (Subcutaneous injection)을 통해서도 우수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최근 새로운 면역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는 케모카인 (Chemokine) 중 하나인 C-C motif ligand 5 (CCL5)를 이용한 암 면역치료에서도 마우스 대장암 모델의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었습니다. 본 연구 결과는 암 면역치료 연구에서 면역치료제의 전달 전략을 설계하는데 합리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.